반응형
톰캣 설치과정은 블로그와 유튜브를 찾아가면서 마무리했다.
아래 동영상이 큰 도움이 되었다.
소리가 작지만 이분이 하는게 나랑 많이 비슷해서 열심히 따라가는중이다.
똑똑하신분들이 유튜브에 올려주시는 강의들 덕분에 초보자도 혼자서 배울 수 있어 정말 감사하다.
지난번에 톰캣 설치까지 해놓고 오늘 오랜만에 실행을 하려니까 실행하는데 어떻게 했었는지 까먹어서 버벅였다.
실행할때는 나의 경우 /server/apache-tomcat-8.5.61/bin (톰캣이 설치된 bin 디렉토리)으로 들어간 다음
sudo ./startup.sh
으로 실행한다.
실행 상태를 보려면
netstat -tnlp
로 8080 포트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AWS EC2 의 퍼블릭 IPv4 주소에 :8080을 붙인후 주소창에 넣어 톰캣이 잘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프라이빗 주소로 넣지 않도록 주의할 것.
다음엔 버벅이지 말고 바로하자!
화이팅!!!
반응형
'언어공부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도메인 https로 연결하기 (SSL/TLS 인증서, 로드 밸런서, 443 포트) 폰트 적용 안될때 (0) | 2021.02.25 |
---|---|
tomcat localhost:80 포트를 8080 또는 9090 포트로 연결하기 (apt-get 에러) (0) | 2021.02.24 |
AWS 우분투에 오라클 11g 설치, 톰캣 포트변경, server.xml 설정 (0) | 2021.02.21 |
우분투 계정 비밀번호 설정 (0) | 2021.02.16 |
스프링 자바 호스팅을 위한 AWS 가입하기 및 가상 서버 만들기 자바설치 톰캣설치 (0) | 2021.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