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공부/JAVA&SPRING

[JSP 게시판 만들기] JDK, 환경변수, 이클립스, 아파치톰캣, 부트스트랩 맥 mac os 에서 설치

by hobbiz 2020. 7. 5.
반응형

 

초보자로서 JSP 게시판 만들기 강의를 들을 때 한 가지 더 어려웠던 점은, 내가 맥북을 쓰고있다는 점이었다...

강의에서는 윈도우를 쓰기 때문에 화면만 보고 따라가기도 버거운 와중에 맥에 맞춰서 이것저것 다르게 진행하느라 초반에 고생했다.

오히려 뒤로 가서 실제로 코딩을 할 때는 거의 다른게 없으니, 초반에만 조금 고생해보자!

이러고 또 학원가서 배울때는 윈도우에 맞춰서 새로 배워야겠지...ㅋㅋㅋ

 

JSP :

자바 서버 페이지(영어: JavaServer Pages[1], JSP)는 HTML내에 자바 코드를 삽입하여 웹 서버에서 동적으로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웹 브라우저에 돌려주는 언어이다. Java EE 스펙 중 일부로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동작한다.

서버 프로그래밍 언어로써 기본적인 홈페이지에 게시판이나 로그인 및 회원가입 등을 넣어야 할 때 많이 사용. 자바 언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른  사용을 위해 JDK가 필요.

 

1. JDK 설치

강의에서는 JDK 8 을 사용함,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할 것

https://www.oracle.com/java/technologies/javase-downloads.html

 

JDK란

Java Development Kit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개발한 Java 환경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툴들을 모아놓은 소프트웨어 패키지이다. JRE(Java Runtime Environment)와 Java 바이트코드 컴파일러, Java 디버거 등을 포함하는 개발 도구들로 이루어져 있다. IBM에서 자체적으로 변형한 IBM JDK와 오픈 소스 버전인 OpenJDK도 있다.

JDK는 어디까지나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패키지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는 Java Virtual Machine만 설치해도 웹상에서 Java Applet을 이용하거나 기타 프로그램들을 구동시키는 데는 별 지장이 없다. 하지만 JSP 컨테이너 등 일부 프로그램은 실행에 JDK를 요구하기도 한다. JSP로 예를 들자면 실행 중에 코드가 컴파일될 필요가 있기 때문. 이클립스, IntelliJ IDEA 등 Java를 이용한 IDE는 JDK에 포함된 JRE가 필수이지만, 일반적으로 해당 프로그램 내부에 JRE를 포함하여 함께 배포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요즘의 인터넷 환경은 Java Applet으로 할 수 있는 일들을 대부분 네이티브 플러그인으로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전문가나 관련 업계 종사자가 아니라면 예전처럼 자주 볼 일이 없긴 하나, 안드로이드 앱이라는 녀석을 만들 때는 꼭 필요하다. 정부 관련 프로젝트를 빼 놓으면 섭섭하다

2020년 4월 기준 최신 버전은 JDK 14 버전이다.

Oracle JDK는 상업적 이용을 할 경우 유료이기 대문에, 무료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 Oracle의 OpenJDK 빌드 또는 Zulu JDK, AdoptOpenJDK 등의 OpenJDK 기반 빌드를 이용하여야 한다. OpenJDK는 GPL 라이선스이지만 classpath exception이 적용되므로 Oracle의 지원이 메이저 버전이 올라가는 6개월마다 끊기는 점 외에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기업의 경우 IBM, Red Hat 등의 저명한 소프트웨어 기업이 제공하는 유료 OpenJDK 빌드를 이용할 수도 있다.

 

JDK 환경변수 셋팅 (for mac)

터미널 실행 후  

>cd /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 입력하여 이동 후 

>ls 입력하여 현재 설치된 jdk 버전 확인

 

아래와 같은 현재 버전의 디렉토리로 이동

>cd /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jdk1.8.0_251.jdk/Contents/Home/

 

환경 변수 편집기 실행

>vi ~/.bash_profile

 

맨 윗부분에 아래와 같이 작성 후(작성 시 i나 a를 눌러야 작성됨)

export JAVA_HOME=/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jdkjdk1.8.0_251.jdk/Contents/Home

 

esc 눌러 수정완료하고 :wq 작성하여 나가기

 

 

2. 아파치 톰캣 설치 (for mac)

Homebrew 이용하여 설치함. 설치 시 아래의 블로그를 참고하였다.

https://whitepaek.tistory.com/3

 

Homebrew 란?

Mac OS 운영체제의 소프트웨어 설치를 단순하게 만들어주는 패키지 관리자.

Homebrew is a free and open-source software package management system that simplifies the installation of software on Apple's macOS operating system and Linux.

 

아파치란? 

apach란 것은 소프트웨어 단체 이름이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부르는 아파치서버라는 것은 이 재단에서 후원하는 오픈소프 프로젝트 커뮤니티에서 만든 http웹서버를 지칭하는 말이다. http 웹서버는 http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웹서버이고, 아파치 http서버는 http요청을 처리하는 웹서버인 것이다. 클라이언트가 GET, POST, DELETE 등등의 메소드를 이용해 요청을 하면 이 프로그램이 어떤 결과를 돌려주는 기능을 한다. 아파치는 웹서버 이다!

 

톰캣이란?

tomcat은 흔히 WAS(Web Application Server)라고 말한다. WAS는 웹서버와 웹 컨테이너의 결합으로 다양한 기능을 컨테이너에 구현하여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서버를 말한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 내부의 프로그램을 통해 결과를 만들어내고 이것을 다시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웹 컨테이너 이다. 앞에서 본 아파치 웹 서버와 차이는 이 컨테이너 기능이 가능하냐의 차이가 가장 크다.

 

 

3. 이클립스 설치

: 강의에서는 Java EE IDE for Web Developers 로 설치하였다.

 

 

4. 부트스트랩 설치

강의에서는 3 버전으로 설치하였다.

https://getbootstrap.com/

 

부트스트랩이란?

트위터에서 시작된 jQuery 기반의 오픈 소스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 시작은 디자이너 하나와 트위터의 한 개발자였지만 지금은 트위터에서 주도적으로 개발하고 있지는 않다. 트위터에서 사용하는 각종 레이아웃, 버튼, 입력창 등의 디자인을 CSS JavaScript로 만들어 놓은 것이며, 웹 디자이너나 개발자 사이에서는 웹 디자인의 혁명이라고 불릴 정도로 폭발적인 반응을 얻는 프레임워크이다. 현재 버전은 4.4.1.

부트스트랩 프레임워크는 글자, 인용문, 목록, 표, 입력폼, 버튼, 이미지, 아이콘 등의 자잘한 것뿐만 아니라, 드롭다운 메뉴, 버튼, 탭, 리스트, 메뉴바, 페이지 이동 바, 알림 메시지, 썸네일, 진행 바 등의 웹 페이지에서 많이 쓰이는 요소를 거의 전부 내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웬만한 웹 페이지는 부트스트랩의 CSS와 JavaScript, 관련 이미지만 설치하고 미리 지정된 CSS 클래스나 JavaScript 함수만 불러오면 트위터에서 쓰는 것과 엇비슷한 디자인이 뚝딱 만들어진다. 거기다 PC용 디자인뿐만 아니라 태블릿이나 스마트폰 같은 모바일용 디자인도 지원한다. 이 때문에 디자인을 할 시간이 크게 줄어들고, 여러 웹 브라우저를 지원하기 위한 크로스 브라우징에 골머리를 썩일 필요가 없다. 크로스 브라우징을 위한 각종 핵도 들어 있기 때문이다.[1] 거기다 웹 브라우저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정렬되는 "그리드 시스템"[2]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웹 페이지를 데스크톱, 태블릿, 스마트폰 모두에서 무리없이 보게 만들 수 있다. 즉 반응형 웹 디자인을 지원한다는 의미이다.

거기다 이게 오픈 소스다. 라이선스는 MIT 허가서를 사용하는데, 소스 코드 공개의 의무가 없어 재배포 면에서는 GPL보다 휠씬 자유로운 라이선스이다. 단, 같이 들어 있는 Glyphicon 아이콘은 CCL BY 3.0을 사용하므로 출처를 밝혀야 한다.[3] 소스까지 오픈되어 있다 보니 여기서 파생된 프로젝트만 해도 수백 개가 넘어간다.

 

5. My SQL 설치

강의에서는 5.7.18 버전으로 설치하였다. (나의 경우 5.7.30)

https://dev.mysql.com/downloads/mysql/5.7.html

mac os의 경우 dmg 파일을 다운받으면 된다.

설치 시 임시 비밀번호가 나오면 잘 적어두거나 복사하여 추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My SQL 실행

아래와 같이 입력하여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

>cd /usr/local/mysql/bin

 

아래와 같이 입력하여 실행시킨다

>sudo ./mysql -uroot -p

 

나는 지금 이전에 설정해둔 잘되던 비밀번호가 왜인지 갑자기 먹히지 않아서 이것저것 시도해보다가 다 안돼서 삭제 후 다시 설치하고 있다.

오류내용: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 

 

맥은 삭제도 참 힘들구나. 비번은 왜 안먹혔던 것일까. 후 정말 열받는다 앞날이 예상되는구만ㅋㅋ

맥에서 SQL 삭제 방법은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였다. 

https://blog.acronym.co.kr/530?category=348350

 

아무튼 또 비밀번호를 다시 바꾸고 재도전. 이제 실행된다. 안되면 컴퓨터 재부팅 해볼 것.

 

 

 

 

<참고 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C%9E%90%EB%B0%94%EC%84%9C%EB%B2%84_%ED%8E%98%EC%9D%B4%EC%A7%80

https://namu.wiki/w/JDK

https://en.wikipedia.org/wiki/Homebrew

https://en.wikipedia.org/wiki/Homebrew_(package_manager)

https://namu.wiki/w/%EC%95%84%ED%8C%8C%EC%B9%98%20HTTP%20%EC%84%9C%EB%B2%84

https://namu.wiki/w/%EC%95%84%ED%8C%8C%EC%B9%98%20%EC%86%8C%ED%94%84%ED%8A%B8%EC%9B%A8%EC%96%B4%20%EC%9E%AC%EB%8B%A8

http://sungbine.github.io/tech/post/2015/02/15/tomcat%EA%B3%BC%20apache%EC%9D%98%20%EC%97%B0%EB%8F%99.html

 

 

<참고 강의>

 

youtu.be/wEIBDHfoMBg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