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바강의41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29회차 미션 오늘은 10강 JPA Relation 부터 들어보았다. *Person.java package com.fastcampus.javaallinone.project3.mycontact.domain; import lombok.*;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 import javax.persistence.GeneratedValue; import javax.persistence.Id; import javax.persistence.OneToOne; import java.time.LocalDate; @Entity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RequiredArgsConstructor @Data public class Person { @Id @Gen.. 2020. 9. 7.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27회차 미션 오늘은 6강 JPA 시작하기 부터 들어보았다. 오늘 학습할 내용은 아래와 같다. 아래와 같이 의존성을 주입하였다. 의존성 주입이란? 출처: 위키백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서 의존성 주입은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의 의존성을 제공하는 테크닉이다. "의존성"은 예를 들어 서비스로 사용할 수 있는 객체이다. 클라이언트가 어떤 서비스를 사용할 것인지 지정하는 대신, 클라이언트에게 무슨 서비스를 사용할 것인지를 말해주는 것이다. "주입"은 의존성(서비스)을 사용하려는 객체(클라이언트)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비스는 클라이언트 상태의 일부이다.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구축하거나 찾는 것을 허용하는 대신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전달하는 것이 패턴의 기본 요건이다. 의존성 주입의 의도는 객체의 생성과 사용의 관심을.. 2020. 9. 5.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26회차 미션 오늘은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지인 정보 관리시스템) 3~5강을 들었다. 우선 강의는 지난번 강사님보다 설명이 풍부해서 초반에 '아 이래서 이걸 이렇게 했구나' 하는 생각이 많이 들어서 좋았다. 그런데 이번엔 IntelliJ 버전이 문제였다ㅋㅋ 강사님이 유료버전을 쓰시는건지, 몇몇 메뉴가 무료버전 (Community)에 없는 것 같다. 처음에 프로젝트 만들때 해당 메뉴가 없어서 그냥 start.spring.io/ 에서 만들었는데 결국 http파일 생성할 때도 안돼서 유료버전 (Ultimate) 30일 무료체험을 다운받아서 쓰기로 했다. 아래와 같이 왼쪽에 메뉴들이 많이 나와야 하는데 무료버전에는 메뉴가 없었다ㅠ_ㅠ 지난번 강의때는 아무 것도 모르고 따라만 치던 어노테이션들에 대해서도 하나하나 꼼꼼히 설명해.. 2020. 9. 4.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24회차 미션 오늘은 11~12강 레이어 분리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 우리가 만든 프로그램은 UI Layer와 Domain Layer를 사용했다. 인터페이시스에는 컨트롤러, 도메인에는 도메인 모델과 레파지토리가 들어가있다. 우리가 이전에 설계했던 레이어에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가 있었다. 그 부분을 추가하는 강의이다. 이것의 필요성을 위해 복잡한 로직인 애플리케이션 모델을 만들고 레스토랑 서비스라는 객체를 만들어 본다. 현재까지 만들어진 코드 정리. eatgo-api/src/main/java/eatgo/application /RestaurantService package kr.co.fastcampus.eatgo.application; import kr.co.fastcampus.eatgo.domain.MenuItem; i.. 2020. 9. 2.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23회차 미션 오늘은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강의 7강부터 10강까지 들어보았다. 7강 ~ 9강까지는 가게 목록과 가게 상세 내역을 만드는 강의였다. 현재까지 만들어져 있는 코드 공유 *EatgoApplication package kr.co.fastcampus.eatgo;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Eatgo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EatgoApplication... 2020. 9. 1.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21회차 미션 오늘부터 스프링 부트 공부를 시작해보았다. 오랜만에 처음써보는 것들을 시작해서 설레기도하고 어렵기도 하다. 이전에 패스트캠퍼스 강의 내에서 자바 기초 공부를 할 때에는 사실 코딩은 거의 안하고 이론을 복습하는 느낌으로 했었는데, 오늘부터는 실제로 코딩을 하면서 따라해보려고 한다. 그러다보니 블로그 글을 어떤식으로 적어야 할 지 모르겠다... 환급과정 미션이다보니 이런저런 양식들이 있고, 글자수도 1000자를 채우라고 하는데 이론이 아니고 실제 코딩을 하는걸 어떻게 유용한 포스팅으로 만들어 볼까 고민이 된다. 우선 실제로 코딩을 하기에 앞서서 아래와 같이 프로젝트의 기본적인 개념과 필요한 개념들을 고민해보고 시작했다. 고객 관점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나열해본 후 가게 주인 관점에서도 필요한 메뉴들을 구상해 .. 2020. 8. 30.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20회차 미션 오늘은 자바 입출력 스트림과 표준 입출력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 입출력 스트림이란 네트워크에서 자료의 흐름이 물과 같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다양한 입출력 장치에 독립적으로 일관성 있는 입출력 방식을 제공해준다. 입출력이 구현 되는 곳에서는 모두 I/O 스트림을 사용한다. 예를들면 키보드, 파일 디스크, 메모리 등이다. 입출력 스트림의 구분으로는 I/O 대상 기준 : 입력 스트림, 출력 스트림 자료의 종류: 바이트 스트림, 문자 스트림 스트림의 기능: 기반 스트림, 보조 스트림 이 있다. 입력 스트림은 대상으로부터 자료를 읽어들이는 스트림을 말하며, 출력 스트림은 대상으로 자료를 출력하는 스트림을 말한다. 바이트 단위 스트림은 바이트 단위로 자료를 읽고 쓴다. (동영상, 음악파일 등) 문자 단위 스트림.. 2020. 8. 29.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19회차 미션 오늘은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공부해보았다. 인터페이스의 요소에는 추상메서드, 상수, 디폴트메서드, 정적메서드, private메서드 가 있다. 인터페이스의 선언과 구현 방법은 아래와 같다.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는 인터페이스 타입으로 변수를 선언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구현 코드가 없기 때문에 타입 상속이라고도 한다. 인터페이스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인터페이스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어떤 메서드를 제공하는지 알려주는 명세(specification)또는 약속이라고 할 수 있다. 한 객체가 어떤 인터페이스의 타입이라 함은 그 인터페이스의 메서드를 구현했다는 의미이다.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실제 구현내용을 몰라도 인터페이스의 정의만 알면 그 객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를 구현.. 2020. 8. 28.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18회차 미션 오늘은 람다식에 대해 공부해보았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순수 함수(pure function)를 구현하고 호출하며 매개변수만을 사용하도록 만든 함수로 외부자료에 부수적인 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입력받은 자료를 기반으로 수행되고 외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병렬처리 등에 가능한 안정적인 확장성 있는 프로그래밍 방식이다. 람다식 문법은 매개변수 하나인 경우 괄호를 생략 가능하다. (두개 인 경우는 괄호를 생략할 수 없다.) str->{System.out.println(str);} 중괄호 안의 구현부가 한 문장인 경우 중괄호 생략이 가능하다. str->System.out.println(str); 중괄호 안의 구현부가 한 문장이라도 return문은 중괄호를 생략할 수 없다. str->return str... 2020. 8. 27.
[패스트캠퍼스 수강 후기] 자바 인강 100% 환급 챌린지 17회차 미션 오늘은 TreeMap클래스와 내부클래스에 대해 공부해보았다. TreeMap 클래스는 key 객체를 정렬하여 key-value를 pair로 관리하는 클래스이다. key에 사용되는 클래스에 Comparable, Comparator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java에 많은 클래스들은 이미 Comparable이 구현되어있다. 구현된 클래스를 key로 사용하는 경우는 구현할 필요 없다. 아래는 HashMap을 만드는 과정. 아래는 TreeMap으로 변환한 것. 정렬이 잘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Map 인터페이스는 쌍으로 이루어진 객체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여러 메서드가 선언되어 있으며 Map을 사용하는 객체는 key-value 쌍으로 되어있고 key 는 중복될 수 없다. 내부 클래스란 클래스 내부에 구현된 클래스(.. 2020. 8. 26.
반응형